정보나눔

서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칼럼

청소년 진로교육 내용 형식 다 바꾸자

  • 관리자
  • 2018-03-21 09:42:03
  • hit1179
  • 61.38.101.156

 

송병국 (청소년정책연구원장· 前 진로교육학회장)

 

 

4차 산업혁명이 목전의 현실로 다가오면서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그 가운데 단연 1순위는 미래 일자리의 불안이다. 청년 실업문제는 양적·질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직면했다. 정부도 청년 실업난의 심각성을 깨닫고 진로교육 강화 방안을 비롯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나섰다. 그러나 문제는 교육을 통해 진로의식이 성숙해져도 ‘취업’은 노동시장 구조 등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또한 개인과 직업 특성 간 접점을 강조하는 현재의 진로교육 패러다임은 로봇과 AI가 일자리를 대체할 시대에 놓인 청소년의 진로 고민을 덜어줄 수 없으며, 취업 관련 사회문제 해소에도 도움이 안 된다.

진로교육이 ‘희망고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능력을 북돋는 통로가 되려면 형식과 내용을 모두 바꿔야 한다. 청소년들에게 펼쳐질 미래·직업사회는 예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좋아하고, 잘하는 분야에 도전정신을 갖고 사회에 유익한 일이 무엇인지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이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예기치 않은 상황과 마주해도 뚫고 나갈 수 있는 문제해결력 함양 중심의 진로교육이 수반돼야 한다. 교육 내용면에서도 직업세계의 구조적 이해, 흥미 있는 분야에 대한 지속적 탐구, 삶에 대한 열정 등을 이끄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적용하려면 학교 교육에서 교과활동의 비중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질 높은 경험과 체험 중심의 비교과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추진 중인 자유학년제가 진정한 진로체험학습이 되도록 인적·물적 자원을 늘리고 사회적 협력을 다지는 과정을 가져야 한다. 학교나 교육부만의 한정된 자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여성가족부와 협력해 학교 밖 청소년 활동과 시설, 청소년지도자의 역할을 인정하고 활용해야 한다. 더불어 청소년들이 하고 싶은 일에 도전하고 실패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 조성 즉, 국가 차원의 제도적 배려도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요즘 진보적 학자나 정치인들이 주장하는 ‘청년기본소득보장제’ 도입이 합당하다고 본다. 그래야 학부모나 교사, 청소년들 모두가 안정적 직업 중심의 진로를 택하지 않고, 보다 도전적이고 인류사회에 가치 있는 일에 뛰어들게 될 것이다.

 

게시글 공유 URL복사